[사설] 삼성전자 대규모 투자, AI 전환기 산업 전략의 분기점

삼성전자가 24일 향후 5년간 450조원을 국내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평택을 중심으로 한 생산라인 증설과 AI 수요 대응을 위한 메모리 투자 확대, 글로벌 AI 기업들과의 협업 강화까지 삼성이 제시한 청사진은 단순한 기업의 투자 계획을 넘어 국가 산업 전략의 핵심 축으로 읽힌다. 국내 제조업이 구조적 둔화 국면에 들어선 상황에서, 삼성전자의 결단은 산업 생태계 전반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번 투자는 AI와 고성능컴퓨팅(HPC) 중심으로 재편되는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다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선제적 시도다. AI 서버용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차세대 파운드리 기술은 글로벌 기업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으며, 주요 경쟁국은 자국 중심의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보조금과 규제까지 동원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내 생산기반을 강화하겠다는 삼성전자의 선택은 기술 자립을 강조해온 정부 정책과도 맥을 같이한다.

 

삼성전자가 AI 시대의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에 대규모 결단을 내린 것은 평가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이제 중요한 것은 ‘투자 발표’가 아니라 ‘실행력’이다. 기술 확보, 글로벌 협업, 공급망 안정화, 미래 인재 양성 등 어느 하나 쉬운 과제가 없다. 이번 투자가 삼성전자의 경쟁력 회복은 물론, 한국 제조업 전반의 체질 개선으로 이어지려면 기업과 정부, 산업 생태계 전체의 장기적 관점과 조율된 실행이 필수적이다.

 

AI 전환기는 한국경제의 새로운 기회이자 위기다. 삼성전자의 선택은 그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