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1 박은미 기자 |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20일 “이재명대통령이 ‘여순 사건’을 촉발한 국방경비대 14연대의 무장 반란에 대해 ‘부당한 명령에 맞선 행위’라며 사실상 합당한 항명으로 평가했다”며 “이는 대한민국 정체성을 뒤흔드는 역사 왜곡”이라고 지적했다.
나경원 의원은 이날 자신의 SNS에“여순사건을 단순히 ‘군인이 국민에게 총부리를 겨눈 사건’으로 정의내려선 안 된다”며 “여순사건은 남조선로동당 계열의 군인들이 무장 반란을 일으킨 사건”이라고 이같이 비판했다.
나경원 의원은 “제주 4.3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며 대한민국 정부에 대항해 경찰과 공무원, 반공 인사들을 살해하고 도시를 점령했다”며 “그들의 총부리가 향한 곳은 ‘자유대한민국’이었다”고도 했다.
나경원 의원은 그러면서 “국가는 반란을 진압해야 했고, 그것이 국가의 책무였다”며 “그 과정에서 발생한 민간인의 억울한 희생에 대해서도 책임 있는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끝까지 이어가야겠지만, 이 비극의 출발점이 공산 반란이라는 점을 왜곡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나경원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은 결국 ‘국가=가해자, 반란군=피해자’의 프레임으로 귀결된다”며 “‘국가 폭력으로 인한 무고한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은 엄연한 국가의 의무지만, 역사적 사실을 외면한 채 오직 ‘국가 폭력’만을 강조하는 것은, 희생의 본질을 흐리고 공산반란의 책임을 희석시킨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