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1 = 윤여진 기자) 정부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6일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신고센터’에서 ‘보이스피싱 대응 범정부TF 실무회의’를 개최했음을 8일 밝혔다. 당시 회의에서는 수사·통신·금융 분야별로 피싱 범죄 대응상황을 점검하고, 택배 배송 사칭 등 명절 기간 성행하는 주요 수법과 예방법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했다.
8일 정부에 따르면, 수사당국은 인터폴·중국 공안 등과의 국제공조를 강화해 왔다. 지난 달엔 단일 조직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의 보이스피싱 조직 총책을 검거해 국내 송환했다. 또 대포 물품을 유통하는 다국적 조직을 검거하는 성과를 냈다.
이번 추석 기간에는 약 2개월 간 ‘특별 자수기간(9.9~10.31)’을 운영하여 보이스피싱·투자리딩방·대포통장 등 유통행위자가 자수하거나 범죄조직에 관한 제보를 하는 경우, 양형에 적극 반영하여 선처할 예정이다.
일반 국민이 총책 등 조직의 상선을 추적할만한 정보를 제공한 경우에는 신고 보상금을 지급하고, 경찰은 신고 활성화를 위해 예산을 확대하는 등 조직적 사기범죄 단체를 추적할 수사 단서를 적극 수집한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 금융앱 보안 강화 및 여신거래 안심 차단서비스 홍보
금융위와 금감원은 휴대폰 내 설치된 원격제어·악성앱을 통한 자금 편취를 예방하기 위해, 금융기관 서비스앱에서 악성앱 가동 여부를 탐지하는 등 보안 기능을 강화한다.
이어 범죄단체가 피해자 명의를 탈취하여 휴대전화를 개통한 후 자금편취에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인 확인에 휴대폰 개통 이력 정보를 활용하는 등 ‘의심거래 탐지 시스템’의 기능 고도화를 추진한다.
아울러 금융권과 함께, 지난 8월부터 시행한 ‘여신거래 안심 차단 서비스’ 및 간편송금·통장협박을 악용한 보이스피싱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개정된「통신사기환급법 등 주요 내용을 국민들에게 적극 안내할 계획이다.
김영수 국정운영실장은 “피싱 범죄는 통신‧금융 수단을 매개로 하기에 언제‧어디서든 국민의 재산을 노릴 수 있는 만큼, 관계부처에서는 명절 연휴에도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응체계 운영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