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인권위 "미국의 한국인 감금은 야만"

9일 성명 통해 밝혀

불교인권위원회가 9일 미국의 한국인 감금을 두고 "미국 정부의 야만적 행태"라고 규탄했다.

 

불교인권위원회(공동대표 진관, 도관)는 9일 성명을 통해 "많은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는 트럼프정부가 미국 제조업 재건을 위해 경제협력을 내세워 유치한 외국기업에, 더 많은 미국인들을 취직시키려는 얄팍한 술수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 이것은 도둑놈이 주인을 향해 몽둥이를 드는 적반하장의 어리석음으로서 미국이 말하는 경제협력이 경제강탈이었음을 만천하에 선언한 것이나 진배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작은 이익을 위해 미국의 야만적 외교정책을 옹호하는 대한민국의 단체와 개인은 매국행위와 다를 바 없다"며 "아울러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철수와 미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동시철수가 이루지고, 미국을 배제한 국제질서 개편에 지혜를 모을 것"을, 국민들에게 촉구했다.

 

다음은 불교인권위원회 성명이다.


미국의 야만을 규탄한다.

모든 존재들은 헤아릴 수 없는 존재들에 의해서 유지되고 살아감으로 하나와 전체는 결코 다르지 않다. 이것은 국가와 국가 간에도 변하지 않는 진리이며 우주의 법칙이다.

인류역사는 국가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막강한 권력의 군주국가에서 독재를 거쳐 일체평등을 구현하는 민주, 복지국가로 나아가고 있다. 여기에 비추어 보면 군사력으로 세계평화를 유지하겠다는 모순적이고 일방적인 미국의 외교는 마치 독재와 같아서 전 인류의 불행이며, 전 세계의 위협이 아닐 수 없다. 그렇지만 힘 약한 다수의 민중들이 민주, 복지를 이루어 내었듯이 미국의 외교 역시 이러한 인류역사의 흐름에서 벗어 날 수 없으리라 본다.

앞으로 펼쳐질 AI시대는 미국의 일방적 군사력을 더 이상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이미 기축통화인 달러를 바탕으로 한 경제적 횡포는 자국의 제조업을 망하게 하는 불행의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금과 같은 힘에 의한 밀어붙이기식막무가내 외교는 미국의 미래가 제조업의 뒤를 따를 수밖에 없음을 시사한다.

지난 4일(현지시각)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 등이 조지아주 세배나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를 급습하여 불법체류자 475명을 구금했다고 발표했고, 그 중 한국인 300여명이 포함되었다. 이 공장은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하여 세우는 공장으로, 그동안 한미 경제협력의 상징으로 평가되는 곳이었다.

8일 대한민국정부는 ‘미국에 의한 한국인들의 감금사태’가 해결되었다고 발표했다. 이것은 팔다리를 쇠사슬과 케이블타이로 묶고, 변기가 막히고 곤충들이 들끓는 열악한 구금시설에 수용한 미국의 야만으로부터 감금된 한국인들을 구출하여 응급사태를 막은 것일 뿐 근원적 문제는 여전히 도사리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는 트럼프정부가 미국제조업 재건을 위해 경제협력을 내세워 유치한 외국기업에 더 많은 미국인들을 취직시키려는 얄팍한 술수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것은 도둑놈이 주인을 향해 몽둥이를 드는 적반하장의 어리석음으로서 미국이 말하는 경제협력이 경제강탈이었음을 만천하에 선언한 것이나 진배없다.

앞서 말했듯이 인류는 점진적으로 힘에 의한 약육강식에서 이성에 의한 화합과 상생으로 발전해 오고 있다. 이미 AI의 현대문명은 인간들에게 대립이 아닌 화합의 요구를 넘어 강요를 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사태는 미국 트럼프대통령이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구시대적 발상의 산물이라고 본다. 

그러나 트럼프의 미국과, 시대흐름의 끝자락에 있지만 강대국으로서 미국의 영향력은 현실이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외교력을 집중하여 미국을 방어하고 국제간 협력을 통해 대응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것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대한민국 국민들의 자세이다. 입장에 따라 국내의 정치적 견해는 달리할 수 있으나 미국의 횡포 앞에서는 일치단결해야 한다.

오늘의 사태를 보는 불교인권위원회는 작은 이익을 위해 미국의 야만적 외교정책을 옹호하는 대한민국의 단체와 개인은 매국행위와 다를 바 없다고 규정미국의 야만과 함께 규탄한다. 아울러 대한국민들에게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철수와 미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동시철수가 이루지고, 미국을 배제한 국제질서 개편에 지혜를 모을 것을 촉구한다.

2025년 9월 8일
불교인권위원회 공동대표 : 진관 . 도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