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비스산업진흥원, 대구경북디자인센터와 ESG MOU 체결

 

(시사1 = 장현순 기자)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섬유폐기물 모두를 자원으로 활용할 경우, 2만4000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과 연간 약 29조5125억원의 매출이 발생하며 연간 목재류 수입 3조 5천억 원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자원화사업은 온실 가스 감축, 수입 대체, 신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사업이다

 

한국서비스산업진흥원과 대구경북디자인센터는 23일 “ESG 시대를 맞이하여 소비자들의 일상생활 속 친환경 생활 실천을 위한 업사이클 마케팅 활성화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김영배 이사장은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뜻하는 ESG는 정부나 공공기관만이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니라, 국민 누구나 생활속에서 참여할 수 있는 생활 실천운동으로 환경도 보호하고 지역 경제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사회적일자리도 창출되는 버려질 자원을 전문디자이너가 설계하고, 숙련된 기술을 어르신일자리로 수제품으로 재탄생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김 이사장은 “생활 속에서 버려지는 물건을 본래의 소재로 다시 전환하는 게 ‘리사이클’ 개념”이라며 “여기에 가치를 더하면, 기존에 없던 새로운 가치 ‘업사이클’ 개념이 도출된다”고도 햇다.

 

진흥원 측은 친환경 ESG 사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자원순환경제와 새로운 고용 창출과 친환경 소비문화가 정착될 것으로 기대했다.


주목할 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