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차량 수리비 AI가 견적 알려준다

파손된곳 촬영해서 사진만 보내면 예상수리비 나와

 

 

(시사1 = 장현순기자) 그동안 자동차 수리를 하려면 정비소마다 수리비가 모두 달라서 실제 수리비보다 많은 금액이 청구되어 불만이 터져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사진한장만 잇으면 AI가 해결해 준다. 

 

보험개발원은 국내 보험사나 정비공장이 자동차 수리비 청구와 손해사정 업무에 사용 중인 자동차 수리비 산출(AOS) 시스템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인 인공지능(AI)을 접목해 예상수리비를 산출하는'AOSα(알파)'를 보급한다고 5일 밝혔다.

이 시스템  AOS알파는AI가 사고 차량의 사진을 보고 부품종류, 손상심도 등을 스스로 판독해 예상수리비를 자동으로 산출해준다.

보험사는AOS알파가 제시하는 예상수리비를 참고해 손해사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범위는 외관부품만 부서진 소손상 사고에 해당한다.

특히 개발원은 차량 이미지 인식이 가능한 휴대폰용 모바일앱 카메라도 보급할 예정이다. 정비공장에서AOS알파카메라를사용하면 차량번호 자동인식은 물론 수리비 청구에 필요한 보험사고 접수정보, 차량모델정보 등도 자동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보험사는 예상수리비를 고객에게 신속하게 안내해 보험 처리 여부 결정을 지원하고 빠르게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고, 신속한 손해사정으로 정비공장 수리비 지급업무도 빨라지게 된다.

이 는AOS알파는 현재12개 손해보험사와 6개 공제조합이 모두 사용할 예정이다. 이들은AOS를 업무에 도입하기 위해 자사시스템 연계, 카메라앱 설치, 직원 교육 등을 추진 중이다.

개발원은'AOS'를 통해 보험사 보상직원과 정비공장 간 영상통화를 연동, 원격 손해사정이 가능해지는 '언택트(비대면)' 보상서비스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자동차수리비 지급업무의 표준화 및 투명성 강화로 이해관계자간의 불신과 분쟁을 줄여 보험문화를 개선하는데 일조할 것"이라며 "비대면 업무 확대 수요와도 맞물려 보험금 지급업무의 패러다임이 바뀔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