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27일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을 대비하기 위해 창업·벤처기업 코로나19 특례보증, KPAS 등 스마트화 관련 4대 중점과제를 발표했다.
이어 기술보증기금는 4대 중점과제의 세부 실천계획을 설명하고, 전사적 역량을 동원하여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 스마트 대한민국 실현’에 기보가 선도적 역할을 수행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창업·벤처기업 코로나 특례보증 4,000억원은 4차 비상경제회의(4.8)에서 발표한 내용으로, 창업·벤처기업이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기업경쟁력을 유지하고 새로운 도약을 준비할 수 있도록 마련했다.
지원대상은 창업기업(창업 후 7년 이내) 또는 벤처기업이고 27일부터 접수를 실시한다.
기존 보증과 무관하게 지원되며, 폭넓은 지원을 위해 보증금액 5,000만원까지는 코로나19 패스트 평가모형을 적용하는 등 심사기준을 완화한다. 향후 1년간 전체 고용유지를 약속하는 기업에게는 보증한도가 최대 3억원까지 확대된다.
두 번째로는 AI를 기술평가에 본격적으로 도입하여, 기보의 기술평가 역량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간다. 기술가치평가와 기업평가 두가지 방식 모두에 AI가 적용된다.
세 번째로, 기보 내부에서만 활용되던 30만 건의 평가데이터와 평가시스템(KPAS, KIBOT)을 은행, VC 등 유관기관과도 연결하여, 우수 기술기업에 대한 대출이나 투자 유치가 더 활성화 되도록 유도한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유망기업이 제대로 평가받고 투자를 유치하여 유니콘기업으로 스케일업하는 여건을 조성하려면 기업평가 방식에도 AI·빅데이터 등 스마트를 입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중기부는 기보가 더욱 스마트해지도록 지원하면서, 기보의 평가역량을 벤처캐피탈 등 다른 기관과 연결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시사1 = 장현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