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1 박은미 기자 | 김포시의회가 전날 또다시 파행되며 지역 정치가 재차 혼란에 빠졌다. 표면적으로는 ‘의회운영위원장직’을 둘러싼 자리 갈등이지만, 그 안엔 여야의 내년 지방선거 구도와 김포시정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이 복잡하게 맞물렸단단 해석이 나온다.
◆ 1년 전 합의, 다시 불붙은 ‘원 구성’ 갈등 = 26일 지역정가에 따르면, 이번 논란의 핵심은 2023년 12월 여야가 서명한 후반기 원구성 합의서다. 의장은 국민의힘, 의회운영위원장은 민주당이 맡기로 합의했지만, 국민의힘은 이번 정례회에서 해당 직위의 정당성을 문제 삼으며 회의 참여를 거부했다. 민주당은 “합의를 뒤집는 것”이라고 반발하며 책임 소재를 국민의힘에 돌렸다.
여야간 힘겨루기가 의회 운영에 반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문제도 지적된다. 지난해에도 원 구성 이견으로 의회가 장기간 멈춰 섰고, 그 여파가 올해까지 이어졌다.
◆ 김병수 김포시장 해외출장 논란까지 겹치며 정치 갈등 증폭 = 김병수 시장의 해외출장을 둘러싼 논란도 여야 대립을 더욱 격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공무 해외출장이 ‘외유성 출장’이라는 비판에 직면한 가운데, 민주당은 “시민 불신이 커진 상황에서 자리 다툼을 벌이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공세를 강화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정당한 문제 제기”라는 입장이지만, 내부적으로도 출구 전략을 찾기 쉽지 않은 상황이란 지적이다.
◆ 예산 심의 차질 불가피…‘정치적 책임’ 공방 장기화 우려 = 문제는 의회 파행이 단순한 정치적 갈등을 넘어 시민 생활과 직결된다는 점이다. 연말 예산 심의는 지역 SOC사업, 복지 예산, 도시개발 계획 등 주요 정책의 운명을 가르는 절차다.
의회가 계속 멈춰 설 경우, 집행부와의 갈등뿐 아니라 시민 불안도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역정가에선 “민선 8기 임기 마무리를 앞두고, 여야 모두 지지층 결집을 위한 정치적 메시지 싸움에 몰두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뒤따른다.
한편 정치적 셈법이 계속된 채 의회 정상화가 미뤄질 경우,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의회가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선 양측의 정치적 계산보다 ‘합의 존중’이라는 기본 원칙이 회복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