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1 박은미 기자 | KG그룹 소액주주연대는 지난 2일 대통령실과 금융당국 등에 탄원서를 제출하며 본격적인 집단행동에 돌입했다고 14일 밝혔다. 주주연대는 KG그룹 계열사들이 불공정 거래와 불투명한 지배구조를 통해 주주가치를 지속적으로 훼손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정부 차원의 철저한 조사를 요구했다.
이번 행동은 주주행동 플랫폼 ‘액트’(대표 이상목)를 통해 결집한 KG그룹 6개 상장사(KG케미칼, KG에코솔루션, KG모빌리티, KG스틸, KG이니시스, KG모빌리언스) 소액주주들의 공동 대응으로 이루어졌다.
탄원서에는 ▲2017년 KG제로인과 KG네트웍스의 합병 과정에서의 편법적 경영 승계 ▲KG에코솔루션이 2차전지 사업을 위해 정관을 변경한 뒤, 2년 만에 이를 철회한 투자자 기만 정황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교환사채(EB)로 전환해 장부가치의 20% 수준인 헐값에 교환가액을 설정한 배임 가능성 등이 담겼다.
또한 주주연대는 KG그룹 회장 곽재선의 아들인 곽정현 대표가 14개 계열사의 직책을 겸직하면서도 등기이사로는 단 3곳에만 이름을 올리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는 책임 경영 회피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KG스틸의 배터리팩 사업 진출 발표 직후 대주주 측 펀드가 보유 지분을 매각하고, 곧바로 사업을 철회한 정황도 도마에 올랐다. 여기에 곽 회장이 일부 주주가 게시한 비판 현수막을 훼손한 혐의로 최근 검찰에 송치된 사건까지 더해지면서, 주주를 경시하는 그룹의 문화가 뿌리 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주주연대는 이 같은 의혹들이 단순 실책이나 오해의 수준을 넘어, 구조적으로 반복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이 나서 불법 행위 여부를 낱낱이 규명하고, 공정한 시장 질서를 회복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행동도 이어지고 있다. KG케미칼 주주연대는 지난 5월 13일 ‘사내이사 곽정현 해임의 건’을 안건으로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공식 청구했지만, 회사 측은 지금까지도 이사회를 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주주 권리를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있다는 지적을 낳고 있다.
주주연대 관계자는 “기업의 미래를 믿고 투자한 소액주주들이 대주주의 사익 추구로 막대한 손실을 입고 있다. 탄원서를 시작으로 모든 법적·제도적 수단을 동원해 비정상을 바로잡을 것”이라고 말하고 이어 “금융당국은 더 이상 침묵하지 말고, 불법 행위를 단호히 밝혀내야 무너진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고 촉구했다.
‘액트’ 이상목 대표는 “개인 투자자들은 혼자일 때는 목소리를 내기 어렵지만, 플랫폼을 통해 연대하면 기업의 잘못된 지배구조를 바꾸는 실질적인 힘이 될 수 있다. KG그룹은 주주들의 정당한 문제 제기를 외면하지 말고, 진정성 있는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주주연대는 탄원서에 대한 정부와 금융당국의 반응을 주시하는 한편 KG케미칼 임시주총 소집을 관철시키기 위한 법적 대응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