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전기차 배터리 소재 관세 부과… 한국산업 침체 우려 심화

 

미국 대선 결과 발표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전기차 정책 축소'와 '배터리 소재 관세 부과' 계획이 드러나면서 전기차 관련 시장은 주가 하락에 직면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은 중국산 배터리 소재 수입에 대한 관세 인상으로 인해 생산 및 공급망 차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기차 지원을 축소하고 배터리 소재 수입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러한 정책은 미국 내 배터리 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의도에서 나왔지만, 한국 등 동맹국의 배터리 제조사들에게는 큰 타격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은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등 중요 소재를 중국 등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실제로 시행되면 한국 기업들이 비용 부담을 크게 느끼고 경쟁력 저하가 심화될 수 있다. 특히,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등 배터리 소재 공급 업체들은 주요 매출원이 중국산 소재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 기업들의 미국 시장 진출에도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배터리 소재 관세 부과를 동맹국들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하지만, 한국은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미국과의 협상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 관세 부과 방향에 대한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배터리 소재 관세 부과 정책은 미국 내 생산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분석하지만, 동시에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을 교란하고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한국 기업들은 중국의 소재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 시장 진출 전략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목할 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