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태훈 시인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황금의 꽃같이 굳고 빛나던 옛 맹세는 차디찬 티끌이 되어서 한숨의 미풍에 날려갔습니다. 날카로운 첫키스의 추억은 나의 운명의 지침을 돌려놓고 뒷걸음쳐서 사라졌습니다. 나는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굴에 눈멀었습니다. 사랑도 사람의 일이라 만날 때에 미리 떠날 것을 염려하고 경계하지 아니한 것은 아니지만, 이별은 뜻밖의 일이 되고 놀란 가슴은 새로운 슬픔에 터집니다. 그러나 이별을 쓸데없는 눈물의 원천을 만들고 마는 것은 스스로 사랑을 깨치는 것인 줄 아는 까닭에 걷잡을 수 없는 슬픔의 힘을 옮겨서 새 희망의 정수박이에 들이부었습니다. 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랑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한용운, 시 ‘님의 침묵’ 독립운동가 겸 승려·시인으로 정평이 난 ‘만해(萬海) 한용운’ 선생의 시 한편을 소개하고자 한다. 바로 ‘님의 침묵’이다. 필
▲우태훈 시인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 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심중에 남아 있는 말 한 마디는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붉은 해는 서산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 김소월, 시 ‘초혼(招魂)’ 일제강점기 시절 우리민족의 한과 슬픔을 읊은 ‘서정시의 대부’ 김소월 시인의 시 한편을 소개하고자 한다. 바로 ‘초혼이다’ 초혼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조금 생소한 단어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민족 전통상례의 한 절차인 고복의식에서 나온 말이기 때문이다. 초혼이란 ‘사람의 혼이 떠났으나 설움이 간절해 다시 살려내려는 소망’을 함축한 말이다. 김소월 시인은 이 시를 통해 “이름이여” “사람이여” “부르노라”등 망자의 이름을 직접 세 번 부르는 고복의식의 절차를 문
▲우태훈 시인 아세아에 대죠선이 자주 독립 분명하다 (합가) 애야에야 애국하세 나라 위해 죽어 보세. 분골하고 쇄신토록 중군하고 애국하세. (합가) 우리 정부 높여 주고 우리 군면 도와주세. 깊은 잠을 어서 깨여 부국강병 진보하세. (합가) 남의 천대 밧게 되니 후해 막급 업시하세. 합심하고 일심되야 서세 동점 막아보세. (합가) 사농공상 진력하야 사람마다 자유하세. 남녀 업시 입학하야 세계 학식 배화 보자. (합가) 교육해야 개화되고, 개화해야 사람되네. 팔괘 국기 높히 달아 육대주에 횡행하세. (합가) 산이 놉고 물이 깁게 우리 마음 맹세하세. - 이필균, 개화가사 '애국하는 노래' 1896년 5월9일자 ‘독립신문’에 이필균이 투고한 개화가사 겸 운문이다. 저자는 ‘조선의 자주독립’을 강조하고 있다. 전체가 6연의 분연체로 구성된 이 개화가사는 4-4조의 4음보 율격 및 1연이 두 개의 행으로 구성된 게 특징이다. 또 눈여겨 볼 점은 이 작품의 저자인 이필균씨는 당시 ‘학부의 주사를 한 사실 외에 알려진 게 없는 부분이다. 이 개화가사 겸 운문으로 칼럼의 첫 시작을 알리고자 한다. 당시 개화가사가 ‘계몽을 통한 애국’을 표현하고자 한 것처럼, 본인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