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부터 100가구 이상의 매입임대주택도 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이 의무화된다. 앞으로 임대사업자가 의무임대 기간을 어기고 집을 팔거나 임대료를 과도하게 올릴 경우 부과되던 과태료도 대폭 오르게된다.
23일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민특법) 시행령’이 개정돼 24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날 이같은 결정은 임차인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4월 민특법을 개정한 데 따른 후속 조치인 것이다.
이에따라 임대보증금 보증 가입 의무 대상도 확대된다. 임대보증금 보증이란 임대사업자가 부도 등으로 세입자의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할 때 보증기관이 이를 대신 반환하는 보증 상품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보험이 대표적이다.
지금까지는 민간의 건설임대주택이나 분양주택 전체를 우선공급받아 임대하는 민간매입임대주택에 대해서만 가입이 의무화 했다. 하지만 법령 개정안 시행으로 100가구 이상의 매입임대주택에 대해서도 가입이 의무화 되었다.한다. 적용 대상은 시행 첫날인 24일 이후 신규로 등록하는 매입임대주택부터 적용하게 된다.
또한 의무임대 기간 등을 어긴 임대사업자들에 대한 처벌도 강화 하기로 했다. 4~8년인 의무임대기간 동안 집을 임대하지 않거나 아예 매각한 경우, 연 5% 이상 임대료를 증액한 경우 등에 대해선 그간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했었다.
앞으로는 이를 어길 경우 최고 3000만원의 과태료를 내야 한다. 의무임대 기간 중 양도할 경우 한 채당 3000만원이다. 임대료 증액 5%이상을 올리면 횟수에 따라 500만~3000만원으로 차등 부과 하기로 했다.
아울러 새 아파트 등을 분양받아 아직 소유권이 없음에도 분양계약서를 근거로 임대등록하던 관행도 개선된다. 즉시 활용 불가능한 집이 임대주택으로 등록 및 활용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번에 바뀐 법령은 분양계약서만을 갖고 임대등록을 할 경우 잔금 지급일이 3개월 이내이거나 잔금 지급일 이후일 때만 가능하도록 단서를 뒀다.
또한 임대등록 후 소유권취득 기간을 종전 3년에서 1년으로 앞당겼다. 국토부는 "임대보증금 보증가입 의무 대상 확대로 임차인의 거주 안정성이 보다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