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세계최초 6세대 128단 4D 낸드 양산

생산성 40%, 투자율 60% 향상...올 하반기 판매 예정"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6세대 128단 4D 낸드플래시를 개발ㆍ양산하는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SK하이닉스는 지난해 10월 96단 4D 낸드플래시를 개발 이후 8개월 만이다.

SK하이닉스가 이번에 양산하는 128단 낸드는 업계 최고 적층으로, 한 개의 칩에 3bit(비트)를 저장하는 낸드 셀(Cell) 3600억개 이상이 집적된 1테라비트(Tb) 제품이다.

 

기존에SK하이닉스를 포함한 다수 업체가 96단 등으로QLC(QuadrupleLevelCell) 1Tb급 제품을 개발한 바 있으나, 성능과 신뢰성이 우수해 낸드 시장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주력 제품인TLC로는 업계 최초로SK하이닉스가 상용화했다.

특히 낸드플래시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다. 기존에는 평면 구조의 2D 제품이 주류였지만 2010년대 들어 미세공정의 벽에 부딪혔고, 해결책으로 나온 게 3D 낸드다. 넓은 평면에 1층짜리 주택 형태였던 반도체를 수직으로 높이 쌓아올려 아파트처럼 만든 것이다.

SK하이닉스는 기존 3D 낸드에 자체 기술인PUC를 적용, 한 단계 진화했다는 의미로 '4D'를 설명한다.PUC는 셀 작동을 관장하는 주변부 회로(페리)를 데이터 저장 영역(셀) 아래에 배치해 공간 효율을 높인 게 핵심이다. 아파트 옥외 주차장을 지하 주차장으로 구조 변경해 공간 효율을 극대화한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128단 1Tb4D 낸드는 웨이퍼당 비트 생산성이 기존 96단 4D 낸드 대비 40% 향상됐다. 또 동일한 4D 플랫폼을 활용해 제품을 개발하고,공정 최적화를 통해 96단 대비 셀 32단을 추가 적층하면서 전체 공정수를 5% 줄였다. 이를 통해 128단 낸드로의 전환 투자비용을 이전 세대에 비해 60% 절감할 수 있다.

이 제품을 통해 고성능 저전력 모바일 솔루션 및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의 구현이 가능하다.

 

 

 SK하이닉스는 내년 상반기에 차세대UFS3.1 제품을 개발하여 해스마트폰 주요 고객의 5G 등 플래그십 모델에 공급할 예정이다.

 

현재 스마트폰 업계 최대 용량인 1TByte(테라바이트) 제품의 경우 소비전력은 20% 낮아지고, 패키지(Package) 두께도 1mm로 얇아진다. 업계 최고인 2TB저장용량을 갖는 5G 스마트폰 구현도 가능해진다.

오종훈SK하이닉스GSM담당 부사장은 "128단 4D 낸드로SK하이닉스는 낸드 사업의 근원적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면서 "업계 최고 적층, 최고 용량을 구현한 이 제품으로 고객들이 원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적기에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