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차기 CEO 선임 과정에서 ‘특정 후보자와 이사회(사외이사)’ 유착’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KT 내부 관계자들은 “공정성 훼손과 이해충돌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문제제기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27일 국민기업 KT 정상화를 위한 노동시민사회단체 국회 기자회견에서 김미영 KT새노조위원장은 “"KT 근간이 흔들리고 있고 경영의 위기"라며 ”이런 상황에서 혁신을 하겠다는 것은 보이지 많고 정치권과 이사회에 줄서기 하는 인물들만 보인다"고 지적한 바 있다.
국회 과방위원인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KT를 일으킬 수 있는 새사장이 부임해야 하는데, 아직도 윤석열 정권의 하수인들이 사장을 하겠다고 발버둥을 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김우영 의원, 황정아 의원, 이주희 의원도 26일 공동성명을 통해 "이사회에서 파벌 중심 인사 관행을 즉각 중단하라"며 "실력 중심 혁신 리더를 선출하라"고 강조했다.
실제 KT의 차기 CEO 선발 절차가 본격화된 가운데, 일부 후보자들과 KT 내부 관계자들이 ‘특정 후보와 사외이사 간의 유착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선임 과정의 공정성 논란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KT는 지난 16일부터 CEO 공개모집을 실시해 총 33명의 지원자를 접수했다. 지난 24일 ‘컷오프’를 통과한 16명이 1차 후보군으로 선정됐다. 그러나 심의 과정에서 심판 역할인 사외이사와 선수인 후보자 간의 비정상적 친분관계가 작용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면서, 절차 전체에 대한 의문이 불거지고 있다.
유착 의혹의 핵심에는 사외이사인 고려대 교수인 김모 전 KT 이사회 의장과 후보자인 주모 전 국정기획위 기획위원이다.
16명에 포함된 후보자 일부와 kt새노조 관계자에 따르면, 두 사람은 사석에서 막역한 친분을 나누는 가까운 관계라는 것이다.
이들은 서울대 83학번 동기로, 1989년 SK그룹에 같이 입사한 40년 지기로서, 긴밀한 인연을 공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후보자들은 “KT CEO 선임과정에서 주모 전 위원이 김모 교수의 영향력 아래, 정보 비대칭의 막대한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며 “즉각적인 이해관계 공개와 심사에 배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후보자들과 KT내부 관계자들은 “사외이사가 특정 후보와 이해관계를 보유할 경우 즉각 공개해야할 것”이라며 “해당 후보 관련 논의 및 표결 전 과정에서 해당 사외이사를 배제하라”고 피력했다.
이들은 “국가 기간통신망을 운영하는 KT의 CEO 선출은 단순한 인사 절차가 아니라 국가적 책임이 있는 결정”이라며 “공정성 훼손 시 CEO 선출의 정당성과 향후 경영 안정성이 모두 흔들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KT CEO 선발 절차가 계속되는 가운데, KT내부에서는 이번 의혹에 대한 명확한 해소와 제도적 보완 요구도 분출되고 있다.
한편 김모 고려대 교수는 KT 사외이사 및 이사회 의장 재직 시기에도 고려대–KT 공동연구개발 협약으로 인해 이해충돌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지난 2024년 7월 체결된 해당 협약은 AI·ICT 응용기술 공동 연구, KT 우면사옥 내 공동 R&D센터 설치, 고성능 GPU 인프라 제공 등을 포함하는 고려대-KT 간 전략적 제휴다.
이사회의 수장이 자신이 재직 중인 대학과의 거래 관계에 얽혀 있는 만큼, 이는 상법 제398조(이사의 자기거래) 위반 가능성, KT 이사회 규정 제9조의 이해관계 충돌 금지에 저촉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