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경기도 ‘일산대교 무료화’…김병수 ‘김포 50% 지원’ 묻혀

시사1 박은미 기자 | 경기도와 김포시가 각각 발표한 일산대교 통행료 지원 방안이 하루 간격으로 충돌한 가운데, 이 여파가 최근까지 지역사회의 혼란을 유발했다는 지적이다.

 

27일 지역정가에 따르면 지난달 김포 지역의 교통 정책이 시와 도의 엇박자 발표로 혼선에 빠졌다. 김병수 김포시장이 내놓은 ‘김포시민 대상 통행료 50% 지원’ 구상은 경기도의 ‘전면 무료화’ 선언에 사실상 묘연해졌다는 게 중론이다.

 

이와 관련 김병수 시장은 지난달 초 “김포 시민의 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해 평일 출퇴근 시간대 김포 등록 차량에 한해 통행료의 50%를 시 예산으로 우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고양·파주·김포 등 3개 시가 분담해야 하는 재정 부담을 김포시가 먼저 책임지겠다는 메시지를 담아 경기도의 조속한 대응을 촉구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문제는 김병수 시장의 발표 다음 날인 2일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고양·파주·김포 지역 민주당 국회의원들이 긴급 회동을 통해 “빠르면 내년 1월1일부터 일산대교 통행료를 전면 무료화하겠다”고 전격 선언한 것. 이틀 뒤인 3일 민주당 경기도당도 같은 취지의 입장을 재확인하며 전면 무료화 방침을 공고히 했다.

 

경기도와 집권당인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의 입장으로 인해 김포시의 ‘50% 지원 정책’은 효과 명분이 사실상 수포로 돌아갔다는 지적이 지역사회에서 고개를 들게 됐다.

 

더욱이 특정 조건(등록 차량·출퇴근 시간대)에 해당하는 일부 시민만 지원하는 김포시 정책은 형평성 논란까지 제기되면서 김병수 시장이 정책 주도권을 경기도에 넘긴 셈이 됐다는 비판도 나온다.

 

일각에선 일산대교 무료화를 둘러싼 갑론을박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선 국비 확보와 지자체간 협의가 필수적이지만, 각 지자체의 입장 차가 큰 데다 김포시와 고양시 모두 조건을 내걸며 단기간 내 합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김포 지역정가 관계자는 이날 기자와 만나 “김포시의 선제 발표와 경기도의 대응이 연달아 나오면서 일산대교 정책은 ‘지원 방식보다 혼란이 먼저 커진 상황’”이라며 “이런 혼란이 계속된다면 김포시정에도 경기도정에도 좋을 게 없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