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1 신유재 기자 |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는 18일 전날 외교부공무원노동조합과 함께 외교부 청사에서 ‘국제복지 협력 간담회’를 열고 한국 복지의 국제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음을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고령화, 돌봄 격차, 사회적 위험 등 인류 공통의 복지 과제에 대해 국내 복지 현장과 외교·국제협력 부처가 함께 의견을 나눈 자리로, 한국 복지의 국제 확장 가능성을 제도적 관점에서 본격적으로 살펴본 점에서 의미가 크다.
외교부는 ODA, 재외국민 지원, 국제기구 협력, 다자외교 등 다양한 국제 정책 분야에서 ‘복지’를 적용할 수 있는 지점을 주요 논제로 제시했다.
이주연 외교부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은 “고령화, 돌봄, 불평등은 어느 한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한국의 현장 중심 복지 경험은 국제사회에서도 경쟁력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복지가 지닌 사람 중심 철학이 국제협력의 기본 가치와 맞닿아 있다고 강조했다.
김현훈 서울사회복지협의회장은 그동안 일본·몽골·중국 등과의 복지 교류, 국제 심포지엄, 아시아 아동·청소년 교류 프로그램 운영 등 현장에서 다져온 국제 협력 기반을 소개하며 “복지는 국내 제도에만 머물 수 없고, 국제적 연대 속에서 더 넓은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김현훈 회장이 현장에서 축적한 실행력과 국제 교류 경험은 복지 경험을 글로벌 협력 의제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외교부 측의 관심을 끌었다. 이날 간담회에서 외교부 관계자들은 이러한 경험과 비전을 면밀히 경청했다.
간담회에서는 협의회의 해외 활동 경험을 토대로 민간 차원의 국제 복지 플랫폼, 이른바 ‘제2의 코이카(민간형)’ 구상을 검토해볼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외교부는 “대상국 선정, 공관 협력, 현지 조율 등 실질적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모델이다”라고 화답했다.
김 회장은 “해외 복지현장은 공공의 손길이 절실한 경우가 많다”며 “민간이 먼저 길을 만들고 외교부가 제도적 기반을 더해주면 한국 복지의 국제적 실천력이 크게 확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익 중심의 외교정책과 사람 중심의 복지가 조화를 이루는 구조가 필요하다”며 상호보완적 협력 모델을 제안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논의가 △K-복지 국제협력 모델화 △개도국 복지역량 강화 프로그램 △국제 컨퍼런스 정례화 △사회복지 협의체의 국제조직 참여 확대 등 다양한 확장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분석한다.
무엇보다 이번 간담회는 민간 복지 현장이 국제사회와 만나 새로운 협력 구조를 구체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자리였다. 외교부의 국제협력 역량과 서울시사회복지협의회의 현장 전문성이 결합하며 “복지가 국경을 넘어 공공 가치로 확장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또한 K-복지가 국제무대에서 어떤 역할을 맡아야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시간이기도 했다. 복지를 매개로 국가 간 신뢰를 촉진하고, 개발협력·국제기구 협력·재외국민 보호 등 다양한 외교 분야와 접점을 넓히는 ‘국제 복지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마련된 셈이다.
향후 양 기관은 국제 심포지엄 공동 개최, 개발협력 기반의 복지협력 사업 등 중장기 과제를 함께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