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1 윤여진 기자 |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8일 “유네스코 무대에서의 군함도 의제 채택 실패는 국제사회 설득을 위한 외교 전략의 부재와 준비 부족이 빚은 뼈아픈 결과”라고 우려했다.
나경원 의원은 이날 자신의 SNS에 “일본은 2015년 군함도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조선인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국제사회에 약속했다”며 “그러나 등재 이후 전시관에서는 강제징용의 진실이 철저히 가려졌고, 희생자를 위한 추모는 형식에 그쳤다”고 이같이 지적했다.
나경원 의원은 그러면서 “심지어 지난해 사도광산 세계유산 추진 당시에도 우리 정부는 관계 정상화를 위한 전략적 판단으로 찬성표를 던졌지만, 돌아온 것은 ‘강제’라는 표현조차 없는 전시와, 한국 측 유가족이 배제된 반쪽짜리 추도식이었다”고 강조했다.
나경원 의원은 “이런 전례가 있음에도, 국제사회에서 일본의 책임을 분명히 묻는 외교적 대비는 여전히 미흡했다”고도 했다.
나경원 의원은 재차 “이번 유네스코 표결은 한일 과거사 문제를 두고 국제무대에서 벌어진 외교전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우군 확보도 못한 채, 외교 무대에서 패배의 전례만 남겼다”고 강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