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1 신유재 기자 |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대검찰청 차장검사)이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 항소 포기를 둘러싼 구설수 끝에 사의를 표명했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노만석 대행의 사의표명은 항소 포기 결정이 내려진 지 닷새 만의 일이다. 대통령실은 노 대행의 면직안이 법무부 장관으로부터 제청되면 이를 수리한다는 방침이다.
◆‘항명 사태’로 번진 항소 포기 논란…검찰 내부 반발 직면 = 노만석 대행은 지난 7일 대장동 민간업자들의 1심 판결에 대한 항소 시한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항소 포기를 결정했다.
노만석 대행의 해당 결정은 제1야당인 국민의힘과 일부 시민단체, 전문가들의 반발을 샀다. 국민의힘을 비롯한 보수 진영에선 이재명 대통령 탄핵을 거론하며 논란을 부추겼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해당 결정 배경에 법무부와 대통령실의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마저 제기됐다. 이는 검찰 내부의 집단 반발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평검사부터 검사장급 간부들까지 노만석 대행에게 결정 경위를 설명하라는 집단 성명을 발표하며 거취를 압박한 것이 이를 방증한다,
이에 노만석 대행은 전날 하루 연가를 내고 출근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노만석 대행이 거취를 고심하고자 연가를 낸 것이란 평가가 뒤따랐다. 노만석 대행은 이날 오전 출근길 당시 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으나 오후엔 결국 사의를 공식화했다.
◆법무부 외압 여부 공방…검찰 ‘대행의 대행’ 체제 돌입 = 노만석 대행은 검찰 내부 회의에서 “검찰을 살려야 한다는 생각에 항소 포기를 지휘했다”며 “용산(대통령실)과 법무부와의 관계를 생각해야 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사실상 압박이 있었음을 시인한 것 아니냐는 뒷말이 뒤따랐다.
단 정성호 법무부 장관과 이진수 법무부 차관은 국회에 “와압은 없었다” “신중 검토 의견을 전달했을 뿐” 등의 발언으로 수습에 나섰다.
한편 노만석 대행의 사의 표명으로 검찰은 심우정 전 검찰총장 사퇴 후 이어진 ‘총장 대행’ 체제에서 다시 ‘대행의 대행’이라는 초유의 혼란을 직면하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