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갈치 시장 건어물 골목, 예전의 북적임은 찾아보기 어려워

 

시사1 노은정 기자 |부산의 대표 전통시장 자갈치 시장, 평일 오후, 찾은 골목은 예상과 달리 조용했다. 셔터를 내린 점포가 줄지어 있었고, 손님을 기다리는 상인들만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7월17일 오후, 부산 중구 자갈치시장 건어물 골목을 찾았다. 평일 낮 시간대였지만 분위기는 한산했다. 일부 점포들은 불을 밝힌 채 영업을 이어가고 있었지만, 대부분의 상점은 셔터를 내린 상태였다. 유동 인구도 적었고, 관광객의 발길은 좀처럼 보이지 않았다. 

 

시장 초입에서부터 건어물 가게들이 길게 이어진 구역은 조용했다. 몇몇 상인은 의자에 앉아 조용히 손님을 기다리고 있었다. 예전처럼 발 디딜 틈 없이 붐비던 풍경은 쉽게 찾아보기 힘든 분위기였다. 

 

한편, 자갈치시장 일대는 최근 구조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지난 6월부터 노점상 220여 곳이 새롭게 조성된 '자갈치아지매시장'으로 이전하면서, 기존 노점이 있던 골목 일부는 한산해졌다는 평가다. 

점포 일부는 휴업 중이거나 정비가 진행 중이며, 이전과는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보행 환경은 개선되고 있지만, 상권의 재정착에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인다. 실제로 2023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슈 당시에도 상인들은 매출 급감과 손님 감소를 호소한 바 있으며, 일부 언론에서는 "예전의 활기를 찾기 어렵다"는 르포를 내보내기도 했다. 

 

다만 자갈치시장 전체가 완전히 침체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일부 구역과 시간대, 상권별로 차이가 있고, 특히 새벽 시간대에는 활기를 유지하는 구역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 

 

전통시장은 단순한 판매 공간을 넘어 도시의 문화와 공동체가 살아 숨 쉬는 장소다. 자갈치시장이 다시금 활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변화에 대한 적응과 함께, 시민과 행정, 상인의 협력도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