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1 = 윤여진 기자)윤석열 대통령이 26일 해외순방에서 귀국하자마자 국가정보원 수뇌부를 전격 교체하는 것은 인사 잡음을에 따른 판단으로 보인다. 일각에예고된 수순이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국정원은 업무 속송상 인사와 예산은 철저히 베일에 가려져야 하는 정보기관이지만, 인사 잡음이 외부로 알려지면서 문책성 경질을 통해서라도 조직을 다시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국정원은 지난 6월 국·처장급 1급 간부들을 보직 인사했지만 5일 만에 취소하고 전원 직무대기 발령을 내렸다. 이와 관련해서 김규헌 원장과 김 원장의 비서실장 출신인 A씨가 개입됐다는 말이 돌면서 '신구 권력 갈등설','인사 전횡설'이 제기되었다.
갈등의 원인으로는 A씨가 문재인 정부에서 폐지됐던 국내 정보 파트 출신으로 국정원 인사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당시 권춘택 1차장과 주변 인사들이 적극 반대하면서 사태가 터진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지난 6월 29일 김 원장으로부터 국정원 조직 정비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 또 김 원장에 대한 경결설이 나돌았지만 재신임했다. 문재는 A씨가 면직된 뒤에도 김 원장을 통해 인사에 개입하려는 정황이 추가로 발각되면서 이에대한 파장은 커져만 갔다.
이러한 사실을 포착한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실이 조사에 들어갔고, 김 원장 사의 표명 보도가 나오는 등 파문이 확산됐다. 대통령실은 북한과 관련된 국정원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인사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국정원장 후임으로는 현 김용혐 경호처장이 유력하게 언급되고 있지만, 조태용 국가안보실장과 천영우 한반도미래포럼 이사장 등도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다음달 개각 단행 때 국정원장 인사단행도 함께 발표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