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1 = 유벼리 기자)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 경북지역본부 안동시지부의 민주노총‧전공노 탈퇴 임시총회를 앞두고 전공노 안동시지부와 경북본부와 각각 호소문을 발표하고 탈퇴‧잔류를 호소했다.
안동시지부는 지난 25일 경북본부 소속 지부 조합원을 대상으로 호소문을 내고 “노동조합의 주인은 바로 조합원”이라며 “전공노는 정부 기관과 마찬가지로 문서로 명령·하달만 하는 조직일 뿐 지부 조합원들의 의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안동시지부는 “지부를 대표하는 지부장 등 임원들은 조합원들의 의견이 자기 자신과 다르더라도 조합원의 의견을 받들어 행동해야 한다”며 “전공노는 중앙 임원들이 결정한 사항을 지부에 문서로 명령·하달만 하면서 지부를 현금인출기 마냥 분담금을 요구하고, 지부조합원들을 시키면 시키는 대로 하는 하수인으로 여겨 왔으며 지금도 그 태도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안동시지부는 “전공노 집행부와 간부들은 항상 단결과 투쟁을 통해 현실을 앞서간다는 이유로 공무원신분이나 정치적 중립을 위반하라고 무언의 독려를 하고 있다”며 “좋지 못한 결과에 대해 금전적 지원(생계비)은 조합에서 지원하니 걱정하지 말라고 한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조합원들이 직접 뽑아준 지부장, 본부장, 중앙 임원들은 조합원들의 권익과 복지 향상만을 위해 투쟁해야 하며, 민주노총을 위한 투쟁을 중단하는 것이 선출직 임원의 본분인 것”이라고 꼬집었다.
안동시지부는 “단일노조의 보이지 않는 족쇄의 무게에 대해 깊이 고민해야 한다”며 “법에서도 보장하고 있는 안동시지부의 ‘연합단체 탈퇴 및 조직형태 변경’에 대해 반대표를 행사해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한다고 호소하면서 지부장을 권한정지하고 조합원들의 탈퇴를 음해하고 방해하는 전공노 경북본부의 의도는 과연 무엇인가”라고 지적했다.
경북지역본부는 같은 날 안동시지부 조합원을 대상으로 호소문을 내고 “한 사람이 평생 지부장을 할 수 없다”며 “안동시지부장의 노력으로 1300명이 넘는 조합원을 확보한 능력은 인정하나 그동안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의 투쟁 성과가 있었기에 이 또한 가능했다”고 주장했다.
경북본부는 “안동시지부의 탈퇴는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이 정부를 상대로 투쟁하는 결과물에 대한 무임승차”라며 “조합원으로부터 받은 조합비를 투쟁사업이 아닌 환원을 목적으로 두는 것은 노동조합이 아닌 친목회나 어용노조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원주시청 공무원노동조합(원공노)은 오는 29일 안동시지부를 응원 방문한다. 원공노는 앞서 지난 2021년 전공노에서 탈퇴하고 개별기업노조로 전환한 바 있다. 원공노는 안동시지부가 민주노총‧전공노에서 탈퇴한 뒤 개별기업노조로 전환하면 안동시지부와 반민주노총연대를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29일에는 관련 논의도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