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어 들려오는 태풍 소식, 차량 관리 꿀팁은?

  • 등록 2020.09.03 03:14:01
크게보기

 

 

강한 비바람을 동반한 제9호 태풍 ‘마이삭(MAYSAK)’이 한반도를 덮치며 제주에서는 1000㎜ 물 폭탄과 순간 풍속이 초속 49m를 넘는 강풍으로 미니쿠퍼 차량이 뒤집히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최대 풍속이 초속 27m에 달하는 제10호 태풍 ‘하이선(HAISHEN)’까지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고 있다. 폭우에 초속 45m가 넘으면 달리던 자동차가 전복될 수 있다.

 

임기상 자동차10년타기시민운동연합 대표는 3일 “자동차 최고 가혹 조건은 비바람을 동반한 태풍으로 주행 중 운전자의 의지와 전혀 관계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대수롭지 않은 사고라도 대형사고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다”며 태풍 시 안전 운전법과 태풍 피해 차량 관리법을 발표했다.

 

◇태풍 불면 교통사고 치사율 15% 증가 = 폭우와 태풍이 함께 몰아치면 자동차는 가장 위험한 가혹 조건에 놓여 평상시 가벼운 사고도 대형사고로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운행을 피하는 게 좋다. 2010년 태풍 ‘곤파스’와 2012년 ‘볼라벤’ 기간 발생한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치사율은 평상시보다 약 15% 증가했다.

 

강풍이 불면 주행 속도에 따라 수 톤짜리 차량도 풍력으로 접지력이 약해지면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차선 이탈이나 중앙선 침범 등 추돌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이 커진다. 시속 120㎞ 주행 시 초속 35m의 강풍에서 승용차는 1.2m, 버스는 6.5m 정도 주행 경로를 이탈한다.

 

태풍으로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증가하는 것도 강한 비바람 탓이 크다. ‘제동거리’가 평상시보다 1.8배까지 증가하기 때문에 속도를 50%까지 줄여야 한다. 급제동 대신 여러 번 조금씩 나누어 밟아 주는 펌핑 브레이크나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게 안전하다.

 

◇태풍 주의 표지판 준수, 강풍 위험지역은 우회 = 고속도로 위험 지역에는 방풍벽이 설치돼 있다. 강풍 주의 표지판, 가변 정보판, 풍향 풍속 측정기와 바람 자루 같은 시설물을 설치해 강풍에 따른 위험 및 주위를 인지하도록 하고 있다.

 

강풍이 불 때는 강풍 주의 표지판과 전광판의 풍속 및 감속 안내에 따라 안전 운전을 한다. 산 절개지와 강 주변, 해안가 도로는 통제 구간을 확인하고 가급적 우회한다. 긴 다리 교량과 터널 부근은 횡풍으로 차가 순간적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한 손보다는 두 손으로 운전하면서 속도를 줄여 통과한다. 화물차는 제동거리도 길고 빗길 전복 사고 위험도 크기 때문에 대형차를 바람막이처럼 앞에 두고 가면 안전하다는 생각은 착각이다.

 

아울러 자동차와 습기는 상극이다. 태풍으로 비바람이 몰아친 환경은 반침수차로 위험 수준의 습기를 품고 있다. 습기는 자동차에 피부암과 같은 부식을 발생시킨다. 햇볕이 좋은 날 보닛(bonnet)과 앞, 뒷문과 트렁크를 모두 열고 바닥 매트와 스페어타이어를 들어내 흙 등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광욕으로 구석구석 완전히 건조한다.

 

◇전기차는 습기 제거, 경유차는 날씨 좋은 날 30분 이상 정속주행 = 전기차는 태풍이 지나가면 보닛을 열어 습기 정도는 제거해야 한다. 다만 엔진룸의 주황색 배선은 고압선이므로 손을 대는 건 위험한 일이다. 전기차는 부분 침수돼도 안전장치가 탑재돼 기밀 및 방수 기능으로 밀폐돼 있다. 주요 장치에는 수분 감지 센서가 있어 물이 스며들면 전원을 자동 차단하고 감전을 예방한다.

 

경유차의 매연포집필터(DPF)는 장착 시 약 90% 이상의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고성능 백금 촉매 성분의 환경 부품이다. 2007년 이후 신차에 의무 부착되고 있으며 이전 배출가스 5등급 노후 경유차는 비용의 90%까지 정부 보조를 받을 수 있다. DPF 필터는 머플러 뒷부분으로 토사 등 오염 빗물이 역류해 손상되면 교체 비용으로만 수백만원이 들 수 있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경유차는 날씨 좋은 날 정체 구간보다는 30분 이상 정속 주행을 하면 자기 청정 온도가 약 300℃ 이상 도달하면서 재생 기능으로 카본(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시사1 = 유벼리 기자)

유벼리 기자 koreamgh9204@naver.com
Copyright @시사1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