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는 오는 29일부터 다음달 31일까지 전국 학령전환기 청소년(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130만여 명을 대상으로 ‘2020년도 청소년 인터넷ㆍ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를 실시한다.
여가부는 24일 “이 조사는 2009년부터 여성가족부가 교육부, 시‧도 교육청 등과 협력하여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의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과 과의존 정도를 측정한다”고 이렇게 밝혔다. 이어 각급 학교를 통해 학부모에게 조사내용을 사전에 안내하고 온라인 설문조사 형태로 진행한다.
여가부는 진단조사 결과, 인터넷ㆍ스마트폰 과의존 위험 사용자군 청소년에 대해서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추가심리검사를 실시했다. 오는 8월부터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과 전국 235개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통해 맞춤형 치유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위험 정도에 따라 개인‧집단상담을 실시하고, 우울증 등 공존질환이 있는 경우 병원치료를 연계 지원한다. 집중치유가 필요한 청소년에게는 ‘인터넷‧스마트폰 치유캠프’, ‘가족치유캠프’,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 등 기숙형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심민철 여가부 청소년정책관은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는 요즘, 이번 진단조사가 청소년들이 자신의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을 되돌아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진단조사 결과,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에게 지원하는 전문적인 상담ㆍ치유서비스에도 보호자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바란다”라고도 했다.
(시사1 = 유벼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