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대전현충원에서 '무후 광복군-홍범도 장군' 차례 지내

  • 등록 2025.10.11 13:08:32
크게보기

8일 시민단체 대표 등 참가 추모시 낭송도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 추석연휴를 이용해 대전현충원 홍범도 장군과 무후 광복군 17위 선열들을 참배했다.

 

국민주권개헌행동, 개헌개혁행동마당, 흥사단, 친일청산 한국사 복원운동 등 50여 시민단체 대표들은 지난 8일 낮 12시부터 오후 2시까지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독립운동을 하다, 목숨 받친 선열을 들어 찾았다.

 

이날 시민단체 대표들은 이곳에서 홍범도 장군과 후손 없는 무후(無後) 광복군 17위 선열들을 참배와 등 추모제를 진행했다. 또한 이 자리에 참석한 시민단체 대표들은 국권국익수호, 남북평화공존, 국민개헌보장 등의 방안을 서약문을 발표하자는데 뜻을 같이했다.

 

특히 시민단체 대표들은 ‘항일무장투쟁‘ ’대한독립‘ ’대한민국‘ ’국권국익수호‘ ’남북평화공존‘ ’국민개헌보장‘ 등을 외치며, 만세 삼창했다.

 

먼저 무후 광복군 추모식에서 발언을 한 송운학 개헌개혁행동마당 상임의장은 “올해 설날, 기림행사를 가져 추석에는 편히 쉬려고 했다. 하지만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고율 관세와 선불투자 등을 강요하고 있다”며 “어떻게 해야 우리 나라 재산을 강탈하려고 하는 초강대국 미국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 장군과 광복군 선열들께 지혜를 얻고자 이 자리에 모였다”고 말했다.

 

이어 “이곳에서 잠들어 있는 무후 광복군은 대부분 고향이 이북이며, 사망 당시 평균연령은 약 25세로서 꽃다운 나이였다”며 “이들 선열처럼 당사자나 가족이 나타나지 않아 훈장과 보상금 및 특별예우금을 수여할 수 없는 독립유공자가 무려 7285명”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9월 25일 모 언론사 보도에 따르면, 지불하지 못한 보상금 등이 무려 8조 5천여 억원에 달한다”며 “국가보훈부는 보도 해명과정에서 후손을 찾아내지 못한 사유가 본적 미상 26.2%, 북한 본적 41.3% 등 약 68%를 차지하며, 나머지 약 32%도 가족과 후손 등을 입증할 수 있는 객관적인 관련 자료가 부족하다고 밝힌 바 있다”고 지적했다.

 

송 의장은 “10월 1일 국군의 날을 광복군 창군 일인 9월 17일로 변경해야 한다고 정부에 외치고 있지만, 마이동풍”이라며 “독립유공자 이북가족 등 유전자 검사 실시, 이산가족 상시 상봉 보장 및 평화공원 조성, 남북공동관리 경제특구 설치 등을 제안한 바 있다”고 강조했다.

 

무후 광복군 추모제에서는 임은화 인터넷언론사 더위즈덤 대표, 최순애 아리랑예술단 단장, 표옥란 촛불계승연대천만행동 공동대표 등 여성대표단이 ‘무후광복군 추모 헌시’를 낭송했다.

 

비바람도 찼어라

나라 잃은 나그네야!

바친 길 비록 광복군이었으나,

가시밭길 더욱 한이었다.

순국하고도 못 잊었을

조국이여!

꽃동산에

뼈나마 여기 묻히었으니

동지들아 편히 잠드시라!

 

무후 광복군 기림 추모 행사는 지난 1967년 광복군 동지회가 서울 도봉구 수유리 산골짜기에 마련한 합동 봉분에서, 후손 없는 광복군 유해를 안장하며 시작됐다. 무후 광복군 묘는 지난 2023년 서울 수유리에서 이곳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했다.

 

이어 시민단체 대표들은 무후 광복군 추모제를 마친 후, 홍범도 장군의 묘역으로 자리를 옮겨 추모제를 지냈다.

 

무후 광복군 17위와 홍번도 장군 추모제에는 이근철 국민연대 상임대표, 이전오 친일청산 한국사 복원운동 대표, 김장렬 흥사단 단우, 임양길 촛불계승연대천만행동 공동대표, 전재홍 민속화가, 김태현 사진작가, 손병주 한터역사문화연구회 대표, 한일영 선감학원 아동인권유린 진상규명 추진위원회 회장, 문재환 개혁연대 민생행동 초대 공동대표, 김종대 의민(義民)특검대 대장, 박철연 고백고 통일연구’ 소장, 오영세 대전시 전 의원, 김희모 독립운동기념사업회 사무국장, 이두원 민족민주연구소 충남지부 홍성군 지회 후원회원 등이 참여했다.

 

김철관 기자 기자 3356605@naver.com
Copyright @시사1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