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차 촛불집회 "국가보안법 폐지-특별재판소 설치" 촉구

  • 등록 2025.08.03 12:19:52
크게보기

박미자 성공회대 연구교수, 김영란 기자 등 발언

"김건희를 구속하라. 특별재판부 설치하라." “비리백화점 특급범죄자 김건희를 구속하라.” “내란세력 척결위해 특별재판소 설치하라.” “내란세력 청산하고 국민주권 실현하자.“ "내놓고 강탈하는 미국을 규탄한다.” “법비들은 못믿겠다. 특별재판부 설치하라” “공안탄압 분쇄하고 국가보안법 폐지하라”

 

내란청산-국민주권 실현 151차 촛불대행진 집회가 2일 오후 6시 30분 광화문역 3번 출구에서 열렸다.

 

기조발언을 한 이정권 고양파주촛불행동 공동대표은 “연일 김건희 범죄의 진상도 확인되고 있다. 이번에는 특검이 김건희가 사용한 비화폰을 확보했다"며 "고위 공직자들이 사용하는 비화폰을 민간인이 사용한 것이다. 김건희가 국정을 지휘, 농단 했다는 증거 아닌가. 이제 우리 국민들이 기다리는 다음 감옥행 범죄자는 김건희 아니겠냐"고 반문했다.

 

정치발언을 한 권오혁 촛불행동 공동대표는 "대결과 전쟁만 불러오는 모든 적대 훈련을 과감히 중단하자"며 "남북 모두의 평화와 번영, 먹사니즘으로만 달려가자"고 밝혔다.

 

이어 "우리가 빛의 혁명으로 전 세계에 영감을 주었듯이 남북 평화와 번영으로 전쟁에 신음하는 이 세계에 강력한 새 희망을 전파하자"며 "한미연합훈련 중단하고 평화번영 실현하자"고 외쳤다.

  

진행을 한 김지선 서울촛불행동 공동대표는 ”미대사관의 임대료가 45년 동안 밀려다고 한다. 우리 국민은 일반적으로 방세 몇 달 밀리면 바로 쫓겨난다“고 밝힌 후 ’미국은 돈내라. 방빼라‘를 외쳤다.

 

이어 ”국민들은 이렇게 거리에 나와 있는데, 지귀연 판사는 휴가 갔다고 한다. 내란 청산에 관심이 없는 지귀연 재판부는 내란 재판을 맡을 자격이 없다"며 "내란특별법 빠르게 통과시켜 3대 특검재판부를 구성해야 한다. 언제까지 윤석열의 저 진상짓을 봐야 하냐"고 피력했다.

 

그는 "정동영 통일부장관이 남북민간교류를 허용하겠다고 했다. 북한 사람을 자유롭게 만났다가 나중에 보수정권이 들어서거나 공안기관이 마음만 먹으면 국가보안법위반으로 처벌할 수 있다"며 "국가보안법이 있는 한 남북 화해협력은 어림없다. 국가보안법 폐지"를 촉구했다.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은 "내란 특검이 아무리 잘해도 재판은 지귀연 친구들이 한다. 조희대 후배들이 한다. 한동훈 윤석열 서울법대 후배들이 대부분 재판을 한다"며 "무죄 나오면 우리는 뉴스만 보고 끝나는 것"이라고 '특별재판소 설치'를 주문했다.

 

성공회대 연구교수인 박미자 국가보안법 7조부터폐지운동시민연대 대표는 “현재국가보안법 페지 5만 입법청원을 진행하고 있다"며 "윤석열과 김건희 내란세력들은 뭘 믿고 내란을 일으켰을까. 저는 국가보안법을 믿고 내란을 일으켰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보안법폐지 5만 국회 입법청원 서명에 지금 집회 주변에서 청년들이 피켓을 들고, 국보안법 폐지 큐알 명함을 들고 다니고 있다"며 "집회 전광판에도 큐알코드가 떴다. 적극 참여해 주시라. 청년들은 힘들어 하시는 어른들에게 큐알 코드 입력을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김영란 <자주시보> 기자도 "공안기관은 자신들의 불법 행각이 드러나고 입지가 줄어들까 봐 공안탄압을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라며 "촛불언론에 대한 종북몰이로 촛불국민과 멀어지게 하는 의도다"고 꼬집었다. 이어 "자주시보는 민주진보 인사와 단체를 탄압하는 공안기관에 대해 대통령실이 당장 단속하라는 것과 국가보안법 폐지를 요구하며 농성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참가자들은 촛불 집회가 끝나고 촛불대행진에 참여해 광화문역에서 안국역, 종각을 거쳐 다시 광화문역으로 와 해산했다.  

 

한편 촛불행동 주최로 내란행위자 처벌특별법 제정 범국민서명운동에 11만6919명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촛불행동은 지난 7월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소통관에서 서명운동보고 기자회견을 했고, 곧바로 서명지를 민주당에 전달했다. 152차 촛불집회는 같은 장소 광화문역 3번 출구에서 9일 오후  6시 30분 열린다.

김철관 기자 기자 3356605@naver.com
Copyright @시사1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