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포스트 메뉴

내년부터 '신용등급'은 사라지고 대신 점수제로 개편

현행 1~10등급으로 구분하던 개인신용등급...내년부터 '1000점 만점 ' 점수제로 바꾸기로

내년부터 모든 금융권의 개인 대출 심사 때 지금과 같은 신용등급 대신 신용점수를 활용하도록 신용평가 체계가 바뀐다. 이같은 개편으로 신용등급이 낮다는 이유만으로 대출 금리나 한도를 정할 때 불이익을 받는 일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5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개인 신용등급 점수제 전환 전담팀'을 발족하면서 첫 회의를 했다고 밝혔다.

지금은 나이스평가정보·코리아크레딧뷰로 등 신용평가회사가 개인의 신용점수(1000점 만점)를 평가해 점수 구간별로 1~10등급로 나눠 신용등급을 매기면 은행 등 금융회사도 이 등급을 기준으로 대출 금리나 한도 등을 결정했다.

 

이 때문에 신용점수가 같은 등급 안에서 가장 높아도 단순히 등급이 낮다는 이유만으로 대출 신청을 거절당하거나 고금리를 부담해야 하는 이른바 신용등급 '절벽 효과'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겨 큰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단점때문에 내년부터는 전 금융권에서 대출 심사 등을 할 때 개인의 신용점수만 사용할 수 있다. 신용평가사가 금융회사에 개인의 신용점수 정보만 제공하고 금융사도 제공받은 점수와 자체 신용 위험 평가를 거쳐 개별 대출 금리나 한도 등을 정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따라 점수제에선 7등급 상위자들이 제도권 금융사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금융당국은 기대하고 있다.등급제하에서 평가상 불이익을 받는 금융소비자 약 240만명이 대략 연 1%포인트 수준의 금리 인하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NH농협은행 등 5개 은행은 앞서 지난 1월 14일부터 이 같은 신용점수제를 시범 시행하고 있다. 보험사·카드사·증권사 등에도 내년 중 점수제 적용을 시작할 예정이다.

전담팀은 기존 신용등급의 점수제 전환에 따른 소비자 불편을 줄이고 신용등급을 기준으로 하는 금융 관련 법령, 서민 금융 상품 취급 기준, 공공기관 업무 규정 등의 개정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